다운로드 페이지 바로가기 >> http://www.visualsvn.com/server/download/
VISUALSVN SERVER // Download
SVN 사용을 위한 STS 확장 프로그램 설치 / eclipse url로 설치
: STS에서 Subclipse를 설치
Dashboard 의 Extensions 클릭하여 다음을 선택 후 설치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736A3B5060315639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791A3B506031562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79EE3B506031562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1C923B5060315705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1DF93B5060315702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06AB3B50603157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07153B506031581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07923B506031581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1C90335060315814)
: 이클립스에서 Subclipse 설치
1. Help > Install New Software... > Add... > http://subclipse.tigris.org/update_1.8.x 주소 추가
2. Subclipse 항목의 subclipse(Required) 와 Subversion Client Adapter (Required) 선택
SVNKit 항목 모두 선택
3. 설치 진행 후 완료
SVN 서버 설치하기
download now 를 클릭해서 VisualSVN Server 를 다운 받는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1F954E5062E2E00C)
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해서 설치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7F63485062E2421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67AA485062E24434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782E485062E24626)
개인적인 교육 목적이기 때문에 https:// 설정은 체크 해제 한다
Repositories 부분은 공유한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부분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711A485062E2472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7F7D485062E2471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7E67485062E24720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0928505062E24711)
SVN 서버를 실행하면 Status 부분에 서버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08BB505062E24813)
설치 완료!
SVN 서버 세팅하기
자 그럼 공유를 위한 세팅을 시작해보자
Repositories 마우스 우클릭 > Create New Repository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025C505062E24A17)
접근 주소로 쓰일 이름 입력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1307505062E24C05)
계정 생성이 완료 되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70B2505062E24C2B)
Users 마우스 우클릭 > Create User 선택 : 접근 가능한 User 계정 생성하기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13AE505062E24D04)
이름과 패스워드를 지정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7B674E5062E24F32)
처음에 만들었던 저장소 이름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 > Properties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1AC04E5062E24F0F)
접근 가능한 유저와 권한 설정하기
Add버튼 클릭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7BEE4E5062E24F2F)
좀 전에 만들어던 유저 선택 후 OK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25D04E5062E25002)
원하는대로 권한을 설정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23D74E5062E25005)
세팅 완료!
이클립스에 등록하기
세팅이 완료 되었으면 URL주소를 복사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1B0C4E5062E2530F)
이클립스의 오른쪽 상단의 Perspective 부분을 SVN 으로 선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0A244E5062E2531F)
SVN 창에서 빈곳에서 마우스 우클릭 > New > Repository Location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2E5C4D5062E25530)
SVN 서버에서 복사했던 URL 주소 붙여넣기
중간의 컴퓨터 이름부분은 아이피주소로 써주는것이 좋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0C0E465063C17E2F)
유저 생성시 입력했던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51104D5062E25707)
등록 된 모습. 여러개 등록할 수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6BA1425063C1DB2B)
이클립스에 등록 완료
프로젝트 공유하기
공유할 프로젝트를 선택 > 마우스 우클릭 > Team > Share Project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2D784D5062E25932)
SVN > Next 클릭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4CD34D5062E2590E)
공유를 원하는 저장소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11B7395063C2860D)
같은 이름으로 공유, 다른 이름으로 공유 할 수도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24993C5063C2CC11)
최초 주석을 입력하고 Finish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60CDE4C5062E25C04)
동기화 완료!!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68774C5062E25C25)
동기화가 되었으니 데이터를 commit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06CB4C5062E25E0E)
주석을 입력하고 OK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78FA4C5062E25F1B)
JavaEE로 돌아와서 확인한 동기화 된 화면
날짜 앞의 숫자 3이 수정 될때 마다 1씩 증가되는 일종의 개정번호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6B3C4C5062E25F29)
프로젝트 공유하기 끝!
공유된 프로젝트 다운받기
위의 SVN 창에서 빈곳에서 마우스 우클릭 > New > Repository Location 선택 부분 반복
자신의 주소로 생성하듯이 다른 사람이 생성한 유저 계정과 주소를 확인하고 등록한다.
공유된 프로젝트 선택 > 마우스 우클릭 > Checkout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7ECD505063C3DC33)
동일한 이름으로 받을수도 있고 다른 이름으로 받을수도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663DB4C5062E25F31)
저장할 워크스페이스 설정하기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57604C5062E2623E)
공유된 프로젝트 다운 받은 모습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05494C5062E26210)
업데이트 방법 : 프로젝트 선택 > 마우스 우클릭 > Team > Update to HEAD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0ACE4C5062E26207)
변경된 파일이 있으면 최근 버전이 바뀌어서 표시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05554C5062E26310)
공유 프로젝트 사용하기
1. 한 명씩 작업하는 경우
파일의 수정 및 생성 작업 시작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41CF4B5062E2642B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5E734B5062E2640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5F714B5062E2650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3A2E4B5062E26734)
수정한 파일인 경우 아이콘이 * 모양으로 바뀌고
새로 생성된 파일의 경우 ? 아이콘이 생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50D24B5062E2691A)
수정이 완료되면 프로젝트 선택 > 마우스 우클릭 > Team > Commit 선택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554E4B5062E26A15)
주석을 달고 커밋 실행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3DDE4B5062E26A33)
아이콘이 원상복귀되고 버전이 하나 증가 된 모습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35B94B5062E26A3F)
사용하는 유저는 업데이트로 최신 데이터를 유지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02F8475062FE9101)
2. 동시에 작업하는 경우 (동일한 소스 다른 부분 고치는 경우)
commit 했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67CB1475062FE8C0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6674475062FE8E24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68C0475062FE9121)
콘솔창에 찍힌 내용을 보면 업데이트를 먼저 하라고 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737F475062FE9113)
업데이트 후 커밋을 실행 하면 문제 해결~!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02F8475062FE9101)
3. 동시에 작업하는 경우 (동일한 소스 같은 부분 고치는 경우)
같은 소스의 같은 부분을 동시에 수정한 경우에는 업데이트해도 콘솔창에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보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7933475062FE910C)
그리고 수정했던 내용이 이렇게 보이게 된다.
<<<<mine 부분 : 내가 수정한 부분
>>>>> r.15(버전번호) : 다른 사람이 수정한 부분
해결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.
1. 적절하게 조합해서 수정한다.
2. 내가 바꾼 버전으로 밀어붙인다.
3. 다른 사람의 버전으로 밀어붙인다.
4. 아예 수정을 취소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5931475062FE9235)
예를 들어보면 이렇게 적절히 수정을 하고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5854475062FE9238)
커밋이나 업데이트가 아닌 Team > Mark Resolved 를 선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4F3A485062FE9235)
여기가 바로 아까 해결 방법 4가지를 제시하는 부분이다. 원하는 작업을 선택한 후 OK~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4F4C485062FE9333)
콘솔창에 표시된 모습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43EB485062FE9330)
성공적으로 수정 완료~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622D485062FE931C)